반응형

콘센트 스위치 교체하기

신혼집을 구하거나 이사를 하다 보면 은근히 눈에 거슬리는게 바로 전기 콘센트와 전등 스위치다.

특히 전등스위치는 계속 사람 손을 타는 곳이라 색이 변하거나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전기쪽이다 보니 겁이나서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부분이라 그냥 쓰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콘센트 교체나 스위치를 교체하는건 전기쪽을 만져보지 않았다면 위험하고 어려울 수 있지만,

안전장비를 갖추고 중요한 안전사항만 지킨다면 못할것도 없는게 사실이다. 게다가 필자처럼 남의 집에 산다면

굳이 돈 들여 바꿀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의의로 적은 비용으로 큰 만족감을 주는게 바로 스위치류다.




기존 전등 스위치. 지저분한걸 떠나서 너무 구형 모델이다.

스위치 조작하기도 불편한 예전 집에 사용하던 스위치.




그나마 최근에 사용하는 전등 스위치. 이정도는 되야 그나마 작동에 불편함이 없다.

꼬질꼬질함은.. 열심히 지우거나.. 교체를 해야 한다.




심지어 욕실 스위치는... 물이 튀는 곳임에도 제대로 된 두껑도 없이 방치되고 있었다.

게다가 1구 콘센트. 요즘 기본적으로 비데를 사용하는곳이 많은데 욕실이라도 1구 콘센트는 부족하다.

일단 안전을 위해서라도 두껑달린 욕실용 콘센트로 바꿔야 할 듯 싶었다.




3구 스위치. 은근히 잡 곳곳에 종류별로 스위치가 다 모인듯 싶었다.

스위치나 콘센트류는 의외로 저렴하다. 요즘 인터넷을 통해서도 쉽게 구할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이 많이 나온다.

필자는 전체적인 집 색상을 화이트로 잡았기 때문에 무난한 화이트 제품으로 통일 했다.

원래는 블랙앤화이트로 바꿀까 하다 너무 부각될것 같아 화이트 제품으로 통일 했는데 잘한것 같다.




전등스위치를 교체하기전에 반든시 차단기를 내려야 한다.

스위치 작업이다 보니 스위치를 끄고 그냥 작업하면 되지 않냐 생각할 수 있겠지만,

스위치의 역할이 끊어진 전선을 이어주는 역할이라 차단기를 내리지 않으면 뒤에 선을 만지다 감전될 위험이

상당히 높다. 메인 전선에는 계속 전기가 흐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전 꼭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해야한다.

이왕이면 두꺼비집을 내릴때도 전체를 다 내리는게 좋다.

센서등 같은 경우는 별도 스위치 없이 상시전원이 바로 물린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열기구 차단기가 분리되어 있다고

전열기구 차단기만 내리고 작업 했다간 큰 사고가 날 수 있다. 꼭 주의하자.


스위치 외부 커버는 보통 일자드라이버로 테두리를 지렛대나 병두껑 딸때 처럼 들어 올리면 쉽게 분리가 된다.

외부 케이스를 벗기면 이렇게 고정나사가 보이는데, 고정나사를 풀면 스위치 분리가 가능하다.




스위치 커버를 열어보면 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나온다.

스위치 종류별로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STOP! 전기 작업전 차단기 내리고 전기안전 장갑이나 고무장갑을 꼭 착용 후 작업하도록 한다.




스위치부를 살살 들어 올리면 뒤에 전선이 나온다.




스위치는 단선된 선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통 필자처럼 배선이 구성되어 있다.

원래라면 스위치당 2개의 선이 물려야 하지만 이번에 구한 신혼집 배선 구조는 메인배전선을 끊어주는 방식이다.

가정집에서 흔히 보이는 방식인데 배선이 이거와 다르더라도 사진을 찍어두고 동일한 구조로 배선을 연결하면

대부분의 스위치는 호환된다.




새로 구매한 3구 스위치. 기존 스위치와 보양이 살짝 다르다.

하지만 기본적인 배선 연결방법은 동일하다.




비교 할 수 없는 깔끔함.

새로운 스위치는 기존 스위치와 다르게 각 스위치별로 배선작업을 별도로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지만,

필자의 전세집 구조와 동일하게 맞춰주기 위해 스위치와 스위치끼리 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 했다.




그래서 남는 멀티탭에서 전선을 확보 한 후에,




스위치와 스위치를 이어줄 선을 준비했다.




기본 준비 끝.




기존보다 조금더 복잡해진 느낌이지만 큰 틀은 바뀌지 않았다. 변경전 있었던 빨간줄 라인만 별도로 연결 해 줬다.

배선 후엔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 후 벽면에 다시 고정해주면 된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




다른 스위치도 마찬가지다. 기존 배선을 확인 후 새로운 스위치에 동일한 구조로 연결해주면 끝이다.




1구 스위치는 교체하기가 상당히 간편하다. 대부분의 1구 전등 스위치는 이런 구조다.

참고로 스위치에서 선을 분리할때 일자드라이버로 찍어 누르기 좋은 구조물이 보이는데 그 부분을 일자드라이버로 눌러주면

전선이 빠진다. 역으로 꽂을때도 그 부분을 누른 후 전선을 넣고 드라이버를 떼면 고정이 된다.

스위치마다 고정 방식이 다르긴 한데 대부분 누르는 곳이 있고 누른상태서 선을 빼거나 꽂은 후 놓으면 고정되는 방식.




바꾸는김에 욕실 콘센트도 교체 했다.

욕실 콘센트에는 특이하게 다른 전선이 맞물려 있었다.




교체가 끝난 3구 전등 스위치. 무난한 디자인이지만 기존 때가 꼬질꼬질한 스위치 보다는 훨씬 낫다.




이제야 도배한 맛이 난다.




기존 말도 안되는 소형 스위치에서 누르기 편한 신식 스타일로 변경.




확실히 누르기 편리해졌다. 저비용, 저노동으로 큰 효과를 보는 스위치 교체 작업.

신혼집 인테리어나 전세집 인테리어의 기본이 아닐까 싶다.




욕실 콘센트도 튀는 물에서 조금이나마 안전 할 수 있도록 커버가 달린 콘센트로 교체.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비데와 칫솔살균기겸 치약디스펜서를 연결 했는데 콘센트가..

ㄱ자형이 아니라 두껑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다.




범인은 이녀석.




그럼 ㄱ자형으로 바꿔주면 되지 뭐. 스위치를 구매할때 ㄱ자 콘센트도 몇개 같이 구매하면 이런 위급 사항을

손쉽게 대처 할 수 있다.





기존 일자형 콘센트를 대체하기 위해 어쩔수 없이 콘센트 선을 자른다.




접지선이 아니라 2가닥 뿐이다.

220V는 통상 +- 개념이 없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L, N 이라 불리는 상이 존재한다.

이 상을 바꿔 연결해도 기기가 정상 작동하기 때문에 흔히 220V는 +,-가 없다고 이야기 하게된다.

다만, 스피커나 특정 전자제품에서는 이 L, N 상이 바뀔 경우 잡음이 생기거나 기기가 정상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생길수도 있긴 하다. 이럴땐 콘센트를 뒤집어 꽂으면 해결 되기 때문에 220V 배선 작업은 조금 수월한 편이다.




자른 전선은 돌돌돌 말아 콘센트에 결합.

필자가 사용한 ㄱ자 콘센트는 나사를 풀고 콘센트 부분에 전선을 밀어 넣은 다음 다시 조여주는 방식.

보통 조립식 콘센트는 이런 방식을 많이 쓴다.




새롭게 콘센트 머리를 완성했다.




이제야 두껑이 제대로 닫힌다.




욕실은 습한 곳이므로 전기 콘센트의 경우 방수콘센트나 최소한 두껑이 달린 콘센트를 사용하는게 좋다.

혹시 집에있는 욕실 콘센트가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다면... 인테리어를 떠나 안전을 위해 교체하는걸 추천한다.




이제 배선정리만 하면 끝.




스위치와 콘센트 몇개를 교체하고 남은 잔여물.

다시 이사갈때 기존 콘센트로 돌려 놓을까 싶다가도 다시 할바에는 그냥 설치해두고 가는게 나을것 같아 모두 폐기했다.

콘센트 가격 Vs 인건비를 계산했을때 그냥 2년 쓰고 두고 가는게.... 이득이다.


차단기만 확실히 내리고 고무장갑(또는 전기안전장갑) 등 안전장비를 착용 후 작업하면 큰 위험 부담 없이

전등스위차와 콘센트를 적은 비용으로 교체 할 수 있다. 다만 전기라는게 단순 감전을 떠나 화재의 위험성도 있으므로

도저히 불안하다 싶으면 차라리 전문가에게 의뢰하는게 낫다. 요즘 조명이나 전기 전문 업체에 의뢰해도

가격평준화가 되어 있어 합리적인 금액에 교체도 가능하다. 그래도 직접 하나씩 꾸며가는게 또 인테리어의 묘미.


판단은 결국 당사자의 몫이다.


PS. 참고로.. 필자는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안전장치와.. 화재보험 가입을.. 해두었다...



이웃추가    티스토리추가

반응형

+ Recent posts